본문 바로가기
죽나향 이야기

소니카메라의 ISO범위지정의 편리함과 감도 우수성

by 죽나향 2023. 11. 13.
728x90

 

'깐다'는 표현이 있다. 상대를 인위적으로 폄하할 때 쓰는 말이다. '소니는 까야 맛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신생업체(캐논과 니콘이 카메라시장을 장악하고 있을 때 소니는 미놀타를 인수하며 카메라시장에 뛰어듬) 소니는 정말이지 욕 많이 먹으며 현재에 이르렀다. 가장 많이 까였던 내용이 바로 감도였다. 노이즈... 아~ 정말 답이 없었다. 소니의 노이즈를 참을 수 있으면 소니빠가 될 수 있지만, 그 노이즈를 용서? 하지 못한다면 정말 대책이 없는 바디였다.

과거 알파 900을 사용할 때다. 그 당시 감도의 범위는 ISO200~3200이었다. 6400도 있었지만 그 수치는 확장감도였고 ISO 100도 마차가지로 확장감도였다. 그런데 3200을 사진을 찍으면 결과물을 확대하지 않아도 노이즈가 보일 만큼 그 정도는 매우 심했고, 야간에 삼각대가 없을 경우 손각대로는 6400이라는 심리적 수치도 한참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러다가 소니의 FE마운트 A7s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가장 많이 까였던 소니의 노이즈.... SONY A7s는 카메라 역사상 가장 감도가 좋은 카메라로 진사들에게 각인되었다. 해변에서 노니는 일상을 담은 영상하나가 인터넷에 떠도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처음 몇 분 간은 대체 어떤 의미로 영상을 촬영한 것인지 알 수가 없었으나...... 그 영상은 달이 떠 있는 어두운 밤에 촬영된 영상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경악!.... 아마도 많은 진사들이 기억하고 있을 영상임에 틀림없다.  지인 중에 출시가 무섭게 A7s를 구입한 사람이 있었다. 구입한 날인지 아니면 그다음 날인지 모르겠지만, 성능이 하도 궁금하여 지인을 만났다. 바로 감도부터 확인에 들어갔다. 조작이 서툴러 지인에게 최고 감도인 ISO40만으로 세팅을 부탁하고 보무도 당당히 캄캄한 골목길에서 뷰파인더를 보며 셔터를 눌렀다. 뷰파인더에서 뭐가 번쩍거리길래 시선을 줬더니 제한 셔터속도 1/8000에 불이 켜지면서 경고를.....&*$#%$$546

 

지금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는 소니 SONY A7mk2 다. 미러리스 카메라며, 알파마운트가 아닌 E마운트다. 기존의 알파마운트 렌즈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히 미러리스로 갈아탄 이유는 핀 스트레스가 가장 큰 이유였으며, 다음이 감도의 우수함이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알파 900의 최고 감도 6400이 A7 mk2에서는 상용 감도다. 현재 A7 mk2에서는 ISO사용범위를 100 ~ 3200으로 지정해서 사용 중이다. 그러니까 셔터속도가 떨어지는 어두운 곳에서는 ISO3200까지는 자동으로 감도를 높여 셔터속도를 자동으로 확보하라는 것이다.

 

다음은 과거 알파 900의 스펙이다. 감도만 확인해 보면 3200까지 ㅠㅠ 확장감도까지 억지로 올린다 해도 6400... 최고치다.

소니카메라의 ISO범위지정의 편리함

 

 

다음은 현재 사용 중인 A7 mk2의 스펙이다. 실로 많은 차이를 가져왔다.

소니카메라의 ISO범위지정의 편리함
SLR CLUB에서

 

 

 

 

안양천 밤마실을 나간다. 가로등에 은은히 비친 애기사과의 싱그러움이 눈에 든다. 숨을 참고 손각대로 스냅! 원하는 느낌 그대로 잡아준다.^^

소니카메라의 ISO범위지정의 편리함

 

 

미리 설정되어 있던 ISO범위지정에 의해 3200까지 자동으로 설정을 잡아준다. 정말 편리한 기능이며, 소니의 발전에 박수라도 치고 싶어 진다. ㅎㅎ

소니카메라의 ISO범위지정의 편리함

 

 

소니가 니콘에 이미지센서를 공급한 지가 벌써 오래되었다. 2005년 이후로 센서개발이 없는 캐논도 머지않아 소니 센서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몇 해 전에 SLR CLUB 활동 중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길면 30년, 짧으면 10년 안에 소니가 카메라시장을 석권할 것이다!!"[150815]

 

 

상기 내용은 2015년 8월에 작성된 글이며,

2023년 11월 13일 현재, 아직 소니는 카메라 시장을 석권하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 전합니다.ㅠㅠ

 

 

 

728x90

댓글